리더십 10

현실적 리더십 구리바야시 다다미치(栗林 忠道)

구리바야시 다다미치는 제2차 세계 대전의 태평양 전쟁 당시 이오지마 전투를 지휘한 일본 육군 장군으로 유명합니다. 장군은 1911년 육군사관학교를 26기로 졸업 – 참고로 의병장이셨던 지청천장군과 동기입니다. - 과 동시에 기병으로 전속되고, 1923년 육군대학을 수석으로 수료하였으며, 1928년 미국의 대사관 주재무관으로 파견되었는데 하버드 대학에서 학위를 받고, 미국 각지를 여행하면서 미국의 국력을 체험하여 "미국과 벌이는 전쟁은 절망적이다. 큰 오산이다"라는 의견을 제시한 바 있으며, 이것은 야마모토 이소로쿠(山本五十六) 장군도 같은 의견을 피력한 바 있습니다. 1931년에는 캐나다에 파견되었고, 문학적 재능을 발휘하여 ‘말고삐를 통해 말과 기수의 피가 흐른다는 내용’의 ‘애마가’라는 기병군가를 만..

리더십/General 2023.12.14

천재적 리더십 맥아더(Douglas MacArthur)

맥아더는 우리나라에는 인천상륙작전으로 잘 알려진 인물로서 많은 사람이 그에 대하여 알고 있으나, 대부분의 천재성을 가지고 있는 이들이 내면세계를 감추듯 그의 내면적인 부분은 그리 알려지지 않은 것이 사실입니다. 또한 그의 천재성과 그것에 의한 인간관계가 동전의 양면성처럼 늘 그를 따라다닙니다. 그는 필리핀에서의 스페인전쟁에 참전했던 아버지의 뒤를 이었던 천재적 직업군인으로 미국의 웨스트포인트 사관학교를 수석으로 졸업했습니다. 그리고 공병장교로서 필리핀에서 근무하였으며, 1차 세계대전 후 그는 1회에 한하여 가능한 육군참모총장을 중장시절 1회 이례적으로 대장으로 진급한 후 1회 총 2회에 걸쳐 역임 후 전역하게 됩니다. 그의 전역은 나이 또는 실력의 문제가 아니라 1회에 한하여 할 수 있는 육군 참모총장을..

리더십/General 2023.12.01

등소평(鄧小平)- 4. 지속적인 발전을 위한 노력가

등소평(鄧小平)은 타고난 천재적인 인재라기보다 후천적으로 노력하여 끊임없이 앞을 향해 나아가는 노력형의 인재로서 그가 타고난 환경은 지주이자 지방의 실권자인 아버지의 상속자인 맏아들로 그것에 만족하여 아버지의 뒤를 잇는다 하더라도 그 당시 상황으로는 훌륭합니다. 물론 결과론적으로는 중국의 공산혁명으로 지주의 지위가 박탈당했을지 모르지만 아버지의 뒤를 이어 지주로서 살아가는 것도 나쁘지는 않지만 등소평은 그런 환경에서 만족하지 않고 항상 더 넓은 곳에서 더 높은 이상을 위하여 서당에서 정규학교, 정규학교에서 대도시의 신식학교로 신식학교에서 프랑스 유학준비학교를 거쳐 프랑스의 근검공학(勤儉工學), 프랑스에서 주변 환경이 공부를 하기 어렵게 되자 공산주의의 메카인 소련으로 가서 공부를 하게 됩니다. 그러나 여..

등소평(鄧小平)- 3. 개혁적 리더십의 시도와 좌절

무엇인가를 새롭게 변화시킨다는 의미의 사전적 의미를 살펴본다면 잘못된 점을 고치어 좋게 한다는 개선, 정치체제나 제도 등을 합법적, 점진적으로 새롭게 고친다는 개혁, 어떤 분야에서 기존의 관습, 양식, 이념 따위를 폭력으로 급격하게 바꾸는 혁명으로 구분할 수 있습니다. 이것은 변화시키는 속도와 강도로 구분한 것으로 개선이란 부분적으로 잘못된 점을 좋게 하는 것이므로 좋고 나쁨에 대한 상호간의 의사교류가 이루어진다면 문제될 것은 없으며, 의사교류과정에 단순한 설득을 바탕으로 추진이 가능합니다. 그러나 개혁은 정치체제나 제도 등을 합법적, 점진적으로 새롭게 고치는 작업이므로 개개의 이해관계가 혼재되어 의사교류 및 설득에 어려움이 있게 마련이고 따라서 개혁은 일정한 힘 즉 권력을 유지하고 있어야만 지속적인 추..

등소평(鄧小平)- 2. 치민과 치수의 원리

인간을 비롯한 자연의 만물은 누구나 가지고 있는 개개의 공통적인 특징이 있는데 우리는 이것을 본능이라 합니다. 이것은 여하한 주변 환경 또는 외부 압력에도 변화되기가 쉽지 않기 때문에 이것을 억제하고 바꾸기는 근본적으로 대단히 어렵고 따라서 어떤 일을 하고자 할 때 이러한 사람 또는 물질의 본능이 장애물로 등장할 경우에는 이러한 본능을 억제하고 바꾸려 하기보다는 적극 활용하고 자연스럽게 발산시켜 그들로 하여금 적극성을 발동하게 하여 하고자 하는 일을 이루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고 생각됩니다.. 그 한 예로 중국의 신화에는 홍수와 치수에 대한 신화가 많은데 그 중 요(堯)임금 시절 이야기를 하면 요(堯)임금 시절 세상이 홍수로 인하여 물로 가득하자 요(堯)임금이 치수를 맡길 사람을 찾게 되고 이에 신하들..

주룽지(朱鎔基)

중국의 개혁을 추진함에 있어 자기 자신을 바쳤던 주룽지에 대하여 살펴보면 주총리는 모택동과 같은 호남성 출신으로 명나라 황족의 후예로 태어나기전에 아비는 돌아가셨고 어머니마저 주총리가 10살이던 해에 여의고 큰아버지 슬하에서 성장했으며, 어려운 성장환경이 그를 학업에 전념하도록 하였습니다. 그 결과 이공계 명문인 칭화대(靑華大)에서 줄곧 장학생으로 졸업했으며, 4학년 때는 학생회장을 지내기도 했습니다. 중국에는 혁명원로의 자제들인 태자당, 어릴때부터 공산당의 인재로 관리되어 성장한 공산주의 청년당(共靑團), 짱쭤민(江澤民)에 의하여 주도되고 있는 샹하이방(上海幇)의 세가지 권력집단이 있는데 주총리는 공청단과 샹하이방입니다. 현재 개혁을 위하여 매진하고 있는 중국의 지도자들은 몇 가지의 공통점을 가지고 있..

리더십 2023.11.28

등소평(鄧小平) - 1. 개혁적 리더십의 형성배경

등소평은 제가 개인적으로 무척이나 존경하는 인물입니다. 곧이곧대로 사는 그 성격과 심지어는 바보스러움마저 느끼지만 결국은 그가 승리하는 권선징악적인 면마저 느끼게 합니다. 현재 서점에는 등소평 평전과 같은 등소평에 관한 책이 많이 있습니다. 그러나 그의 어록과 행적을 통하여 그의 인생을 고찰하고자 합니다. 등소평(鄧小平)은 사천성(四川省) 객가 부농의 집안에서 첫째아들로 태어났습니다. 1m 50㎝의 단구이지만 다부진 몸매에 거침없는 언행이 등소평(鄧小平)을 세 번에 걸친 실각과 여러 가지 어려움에 직면하게 됩니다. 객가는 전쟁으로 중원에서 남하한 한족의 후손으로 피난민 특성상 중화권 각 지역에 퍼져 있으며, 다소 폐쇄적인 문화를 가지고 있다고 합니다. 중국화교들도 고개를 흔들 정도로 화교권에서는 유대인과..

화합의 리더십 아이젠하워(Dwight Eisenhower)

아이젠하워는 일곱 아들 중 셋째 아들로 태어났습니다. 장군의 아버지는 크림 공장에서 일했고, 집안 형편은 궁핍해서 아이젠하워와 그의 형제들은 어릴 적부터 심한 노동을 해야 했고, 이로 인하여 강한 신앙심과 형제간의 우애를 가지게 되었습니다. ​ 1909년 아빌렌 고등학교를 졸업하고 형의 대학 학비를 대주기 위해 1년간 일을 하다가 웨스트포인트에 있는 미국 육군사관학교에 입학했으며 미식축구에 특별한 재능을 보였으나 2학년 때 무릎을 다쳐 미식축구를 더 이상 할 수 없게 되었고, 1915년 육군사관학교를 졸업할 때 총 졸업생 164명 중 그는 학과(學課)로는 61등, 기율(紀律)로는 125등의 좋지 않은 성적으로 졸업했습니다. 이것은 장군이 군인으로서의 능력은 그리 높지 않았다는 것을 말하는 것입니다. ​ ..

리더십/General 2023.11.23

합리적 리더십 야마모토 이소로꾸(山本五十六)

야마모토 이소로꾸(山本 五十六)은 이름부터가 특이합니다. 오십육이란 이름은 그의 아버지가 오십육 세에 낳았다고 하여 붙여진 이름입니다. 제독은 1904년 해군병학교 제32기생으로 입대해서 러일전쟁에 참여했는데 여기서 손가락 두 개를 잃었으며 1916년 해군대학을 졸업한 후, 주미대사관(駐美大使館) 무관, 항공전대 사령관을 거치고, 1930년 항공본부 기술부장. 1935년 항공본부장이 되면서 공격용 항공기의 개발과 항공부대편제에 역점을 두었고, 1936년 해군차관이 되었을 때 2차 대전의 기반이 되는 독 ·이 ·일 삼국동맹에 반대하였습니다. 그 이면에는 하버드 대학에서 공부를 한 경력이 있고 두 번에 걸친 미국주재 무관생활과 연구로 누구보다 미국의 저력을 잘 알고 있었으며, 연합함대 사령관 시절 기함이던 ..

리더십/General 2023.11.23

기본에 충실한 리더십 롬멜(Erwin Rommel)

에르빈 롬멜은 1891년에 독일 하이덴하임에서 군인이 없었던 가계에서 태어났습니다. 그의 아버지는 수학교사로서 1차 대전의 급박한 상황이 그를 군인으로 만들었습니다. 물론 1차 대전 중 부하 2명과 1,000여명의 프랑스군이 있는 촌락을 점령하여 그 공로로 철십자(鐵十字) 훈장을 받았고 독창성이 풍부한 장교로 인정을 받았으나, 훗날 장군이 실질적인 진면목을 발휘한 전차는 그 당시에는 발달되어 있지 않았고 원수 또한 관심을 보이지 않았었습니다. ​ 그러나 롬멜 원수가 전략가로서 명성을 얻은 것은 북아프리카 전투에서지만 이렇듯 싹이 튼튼하게 자라기 시작했고, 장군이 가장 정치적이기 쉬운 히틀러 총통의 경호대장의 위치에 있었음에도 그의 정치에 대한 무관심(평생 나찌스 당에 입당하지 않았음)과 성실성으로 히틀러..

리더십/General 2023.11.23